KAIST and the Andlinger Center at Princeton University Announce Net-Zero Korea Study to Accelerate Korea’s Energy Transition

News
Author

KAIST IAM Group

Published

August 29, 2025

The launch of Net-Zero Korea (NZK), which aims to accelerate the Republic of Korea’s energy and industrial decarbonization in the near term and strengthen policy decision support over the longer term, was announced.

NZK will increase Korean capacity for energy-system transition modeling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he Graduate School of Green Growth and Sustainability at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and the Andlinger Center for Energy and the Environment at Princeton University. “KAIST researchers are excited to be collaborating with Princeton University to create more effective means to inform decision-making on Korea’s sustainable energy and industrial future,” said Haewon McJeon, the NZK leader at KAIST.

Energy-system models are vital tools for understanding energy transitions and helping to guide national decarbonization strategies. NZK, which is supported by Google, the Andlinger Center’s Fund for Energy Research with Corporate Partners, and KAIST, will adapt the pioneering energy-system transition modeling approach introduced in Princeton’s impactful Net-Zero America study. This approach introduced an unprecedented level of granularity to modeling challenges including local land use impacts, capital investment requirements, jobs, and air pollution health impacts. The richly detailed outputs provide actionable information for national and subnational policy and planning and private sector decision making. 

Along with deep knowledge of the Korean context, KAIST researchers will contribute expertise to incorporate impacts of international trade and supply chains into Princeton’s modeling approach. Wei Peng, who is leading the Princeton side of the NZK effort and whose research uses computational models to quantify social, political, and environmental tradeoffs around climate policy, said, “We are delighted to be working with world-class integrated assessment modelers at KAIST.  Integrating our two modeling approaches will build new capabilities relevant for application in many countries, like Korea, where global supply chains and trade are so important to the national economy.” 

Antonia Gawel, Google’s Director of Partnerships and Advocacy, said, “We are excited to support this landmark study in Korea by KAIST and Princeton as we advance our efforts to achieve net zero emissions across our value chain by 2030.”

The KAIST-Princeton collaboration adds to the list of countries where Princeton researchers, led by Chris Greig, Eric Larson, Jesse Jenkins, and Wei Peng, are working with top research institutions on national decarbonization modeling studies, including Australia, Brazil, China, India, and Poland. 

KAIST-프린스턴대, 기후위기 대응 ‘넷제로 코리아’ 공식 출범​

우리 대학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전해원 교수 연구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앤드링거 환경·에너지 연구센터와 탄소중립 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넷제로 코리아(Net-Zero Korea, 이하 NZK)’ 프로젝트를 공식 출범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현장에서 발표됐으며, 구글의 시드펀딩으로 시작된다.

NZK 프로젝트는 단기적으로 한국의 에너지 및 산업 부문의 탄소중립 전환을 가속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한국의 에너지시스템 모델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은 청정에너지로과 탄소중립으로의 전환을 연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이번 연구는 프린스턴대가 2021년 발표해 주목을 받은 ‘넷제로 아메리카(Net-Zero America)’ 프로젝트의 선도적 모델링 방법론을 KAIST의 통합평가 모형 연구와 접목하여 한국 실정에 맞게 적용할 계획이다.

넷제로 코리아 프로젝트는 구글, KAIST, 프린스턴대학교의 재원으로 추진된다. 이번 연구는 지역별 토지 이용 변화부터 일자리 창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소를 정밀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산업시스템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한국의 특수성을 반영한 모델링을 수행한다. 특히 KAIST는 국제무역 영향을 통합한 최적화 기반 오픈소스 에너지·산업시스템 모델을 개발해 글로벌 학계와 정책 연구에 기여할 예정이다. 

따라서 이번 모델링 연구의 핵심은 ’넷제로 아메리카(Net-Zero America)’에서 주목받았던 정밀한 분석과 현실적 접근 방법을 한국에 적용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높은 공간적·시간적·부문별·기술적 해상도로 에너지와 산업시스템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하고, 지역별 토지 이용 변화, 자본 투자 규모, 일자리 창출, 대기오염에 따른 건강 영향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해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우리 대학 연구팀은 호주, 브라질, 중국, 인도, 폴란드 등 세계 주요 연구기관과 국가 단위 탈탄소화 모형 연구를 수행해 온 프린스턴대 연구진과 협력하여,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우리 대학은 한국에 특성화된 글로벌 통합평가모형(IAM)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최적화 기반 오픈소스 에너지·산업시스템 모델에 국제무역 영향을 통합하는 새로운 시도를 주도할 예정이다. 무역이 경제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국의 특수성을 반영해 기존의 국가 단위 에너지 모델링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다.

프린스턴대 측 연구책임자인 웨이 펑(Wei Peng) 교수는 “KAIST의 세계적 수준 통합평가 모델링 전문가들과 협력을 통해 매크로에너지 모형과 통합평가 모형의 장점을 접목한 새로운 연구를 통해 한국처럼 무역이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많은 국가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토니아 가웰(Antonia Gawel) 구글 파트너십 담당 디렉터는 “KAIST와 프린스턴대가 한국에서 진행하는 이번 의미 있는 연구를 지원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는 2030년까지 당사 공급망 전반에서 넷제로 배출을 달성하려는 구글의 목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해원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교수는 “넷제로 연구를 선도해 온 프린스턴 대학교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한국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달성에 과학적인 근거 기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광형 총장은 “KAIST는 프린스턴대학교와 미국과 한국의 대표 연구기관으로 손잡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과학 기반 정책 지원 체계를 공동 구축한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 이번 협력은 한국 사회의 탄소중립 달성뿐만 아니라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에도 중요한 기여가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